본문 바로가기
경제

국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 / 2위 베트남 유학생

by adtistory 2025. 3. 10.
반응형

📈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현황: 지속적인 증가와 도전 과제

최근 한국은 글로벌 교육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며, 외국인 유학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국내 교육계와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동시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 외국인 유학생 수의 증가 추이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 수년간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20만 명을 돌파하며, 한국의 교육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2. 학위 과정별 유학생 분포

외국인 유학생들은 다양한 학위 과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학사 과정에 71,084명, 석사 과정에 30,012명, 박사 과정에 18,141명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석사 및 박사 과정의 유학생 수는 전년 대비 각각 11.5%, 7.4% 증가하여 고급 학문 분야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주요 출신 국가별 유학생 현황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출신 국가는 다양합니다. 2023년 기준 주요 국가별 유학생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유학생 수

중국 58,062명
베트남 37,732명
몽골 9,738명
일본 5,701명

중국과 베트남 출신 유학생이 전체의 약 52%를 차지하며, 아시아 국가들의 비중이 높습니다.

 

4. 지역별 유학생 분포

외국인 유학생들은 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서울 소재 대학에 전체 유학생의 45%, 경기도 소재 대학에 12%가 재학 중이며, 충청도와 부산·울산·경남 지역에는 각각 7%의 유학생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5. 전공 분야별 유학생 분포

유학생들의 전공 분야는 다음과 같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전공 분야비율

인문사회계열 68%
예체능계열 15%
공학계열 12%
자연과학계열 5%

인문사회계열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이는 한국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6. 정부의 유학생 유치 정책과 향후 과제

정부는 2027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 유치를 목표로 'Study Korea 300K Project'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개편, 유학생 유치 지원을 위한 규제 완화, 유학생 취업 연계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학생 수의 증가와 함께 불법체류 및 중도탈락률 증가 등의 문제도 대두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불법체류 중인 유학생 수는 전체 유학생의 17%에 달하며, 중도탈락률도 7%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학생 관리와 지원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7. 결론

한국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해 글로벌 교육 허브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와 지원 체계의 강화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학업과 생활을 성공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