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3월에 중부 일부 지역 대설특보 ! / 눈이 오고 조심해야 할 부분은?

by adtistory 2025. 3. 4.
반응형

❄️ 눈이 온 후 주의해야 할 사항

눈이 내린 후에는 얼어붙은 도로, 보행 환경, 시설물 관리 등 여러 가지 위험 요소가 존재합니다. 대설이 지나간 후에도 방심하지 않고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눈이 온 후 반드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보행, 운전, 시설물 관리, 건강 관리 측면에서 상세히 소개합니다.


🚶 보행 시 주의할 점

🔹 미끄러운 노면 주의
눈이 내린 후 가장 큰 위험 요소 중 하나는 도로와 보도의 결빙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장소에서 낙상 사고 위험이 큽니다.

  • 횡단보도: 차량이 멈추면서 눈이 다져지고 얼어붙어 매우 미끄럽습니다.
  •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 출입구: 많은 사람들이 오가면서 바닥이 얼어붙기 쉽습니다.
  • 계단 및 경사로: 난간을 잡고 천천히 이동해야 합니다.

📌 예방법

  • 밑창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신발 착용
  • 보폭을 줄이고 발바닥 전체를 붙여 걷기
  • 손을 주머니에서 꺼내고 균형 유지

🔹 고드름 및 낙하물 조심
눈이 내린 후 날씨가 따뜻해지면 건물 처마나 간판에서 고드름이나 얼음 덩어리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건물 근처를 지나갈 때는 머리 위를 수시로 확인하고, 강한 바람이 부는 날에는 높은 건물 근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운전 시 주의할 점

🔸 도로 살얼음(블랙 아이스) 주의
블랙 아이스는 눈이 녹았다가 다시 얼면서 도로에 얇은 얼음막이 생기는 현상으로, 특히 다리 위, 터널 출입구, 그늘진 도로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 예방법

  • 도로가 얼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구간에서는 감속 운행
  • 급제동·급가속·급출발을 삼가고 차간 거리 확보
  • 타이어 공기압 점검 및 윈터 타이어 착용

🔸 차량 관리 필수

  • 와이퍼 및 유리창 성에 제거: 시야 확보를 위해 운전 전 충분히 예열하고 성에 제거
  • 제설제 준비: 눈이 쌓였을 때 대비해 염화칼슘이나 모래 준비
  • 배터리 점검: 영하의 날씨에서 배터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점검 필수

🚨 특히 산간 지역이나 비탈길에서는 체인 장착이 필수적이며, 강설 후에도 도로 상태를 확인한 후 출발해야 합니다.


🏠 시설물 및 건물 관리

🏡 제설 작업 필수
눈이 온 후 즉시 치우지 않으면 눈이 얼어붙어 제설이 더 어려워지고 미끄럼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건물 앞, 인도, 주차장 등의 눈을 빠르게 치워야 합니다.
  • 염화칼슘을 적절히 뿌려 얼음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합니다.
  • 계단과 경사로에 모래나 톱밥을 뿌려 미끄러움을 방지합니다.

🔹 건물 하중 점검
눈이 많이 쌓이면 건물이나 창고, 비닐하우스 등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붕괴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곳은 구조물을 점검해야 합니다.

  • 노후 건물 지붕: 눈이 쌓이면 무게로 인해 붕괴 위험 증가
  • 비닐하우스: 강설 후 지붕에 쌓인 눈을 제거해 무게를 줄여야 함
  • 가로수 및 전선: 눈 무게로 인해 전선이 끊어지거나 나무가 쓰러질 위험이 있음

🚨 눈으로 인해 전선이 끊어졌다면 즉시 한전에 신고하고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 건강 관리 및 한랭질환 예방

☃️ 한랭질환(저체온증, 동상) 예방
눈이 내린 후에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한랭질환 위험이 증가합니다.

  • 저체온증: 장시간 추위에 노출될 경우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지면서 생기는 위험한 질환
  • 동상: 손가락, 발가락, 귀 등 말초 부위가 얼어붙는 현상

📌 예방법

  • 외출 시 방한 장비 착용: 장갑, 모자, 목도리, 보온성이 높은 옷 착용
  • 젖은 옷 즉시 교체: 눈을 맞아 옷이 젖으면 체온이 급격히 내려갈 수 있음
  • 충분한 수분 섭취: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됨
  • 무리한 야외 활동 자제: 특히 고령자, 어린이, 심혈관 질환자는 한파 시 실외 활동을 최소화

🔥 난방기구 사용 시 화재 예방
추운 날씨로 인해 난로, 히터, 전기장판 등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화재 위험도 높아집니다.

  • 난방기구는 벽이나 커튼과 일정 거리 유지
  • 외출 시 전기장판 및 난방기구 전원 차단
  • 가습기 사용 또는 물 그릇을 놓아 실내 건조 방지

🚨 눈이 많이 내린 후에는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를 장시간 켜놓을 경우 배기가스가 쌓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창문을 일부 열어 환기해야 합니다.


✅ 결론

눈이 내린 후에는 보행 시 미끄러운 길을 주의하고, 운전할 때 블랙 아이스를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건물과 도로 제설 작업을 신속히 진행하고, 건강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겨울철 눈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며, 특히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시기에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눈이 온 후의 위험 요소를 미리 대비하고, 철저한 안전수칙을 지켜 건강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내세요! 😊

반응형